개기월식과 블러드문: 2025년 관측 시간표
달이 어느 날 밤 갑자기 붉게 물드는 모습을 본 적 있나요? 이것이 바로 개기월식이에요. 개기월식은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으로 서면서, 지구의 그림자가 달을 완전히 가리는 현상이에요. 그런데 신기하게도 달이 사라지지 않고 붉은색으로 보여서 사람들은 블러드문이라고도 불러요. 이 글에서는 전공 선생님이 초등학생에게 설명하듯, 개기월식과 블러드문을 아주 쉽게 알려드리고, 마지막에는 2025년 한국에서 볼 수 있는 관측 시간도 정리해 드릴게요.
개기월식이란 무엇일까요?
낮에는 태양이, 밤에는 달이 보이지요? 가끔 특별한 밤에는 지구의 그림자가 달을 가릴 때가 있어요. 이때 달이 지구의 그림자 속으로 완전히 들어가면 그것을 개기월식이라고 해요. 순서는 이렇게 기억해요: 태양 → 지구 → 달. 지구가 가운데에서 달빛(사실은 달에 비치는 햇빛)을 가려 버리는 거예요.
달이 왜 빨갛게(블러드문) 보일까요?
태양빛이 지구 대기를 통과할 때, 파란빛은 여기저기 흩어지고(산란), 붉은빛은 더 곧게 지나가요. 그래서 달에 도달하는 빛이 붉은기가 많아져 달이 붉게 물든 것처럼 보인답니다. 저녁노을 하늘이 빨갛게 보이는 것과 같은 원리라고 생각하면 쉬워요!
자주 볼 수 있나요?
개기월식은 매달 일어나는 일이 아니에요. 달의 길(궤도)이 지구의 길과 조금 기울어져 있어서, 세 천체가 딱 맞게 줄을 서야만 볼 수 있어요. 그래서 몇 년에 한 번씩 관측 기회가 찾아온답니다.
어떻게 관측하면 좋을까요?
- 맨눈으로도 충분해요. 망원경이 있으면 더 선명해요.
- 도시 불빛이 적은 곳(어두운 곳)에서 보면 더 잘 보여요.
- 사진은 삼각대 + 망원렌즈(또는 망원 카메라)면 더 멋지게 찍을 수 있어요.
2025년 한국(서울 기준) 개기월식 관측 시간표
아래 시간은 한국 표준시(KST)이며, 서울 기준입니다.
단계 | 시각 (KST, 2025-09-08 새벽) | 설명 |
---|---|---|
부분월식 시작 | 01:26:48 | 달의 일부가 지구 본그림자에 들어가기 시작 |
개기월식 시작 | 02:30:24 | 달 전체가 본그림자에 들어감 → 붉은 달(블러드문) |
최대 월식 | 03:11:48 | 가장 깊게 가려지고 가장 붉게 보이는 때 |
개기월식 종료 | 03:53:12 | 달이 본그림자에서 벗어나기 시작 |
부분월식 종료 | 04:56 | 달이 본그림자에서 완전히 벗어남 |
반그림자월식 종료 | 05:55~05:56 | 월식 전체 과정 종료 |
※ 위 시각은 한국천문연구원(KASI) 발표 및 국제 천문 타임테이블을 참고해 정리했습니다.
정리해요
개기월식은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들어가 붉은 달(블러드문)이 되는 멋진 우주 쇼예요. 2025년 9월 8일 새벽에는 알람을 맞추고 가족, 친구와 함께 하늘을 올려다보세요. 오늘 배운 원리를 떠올리며 관측하면, 눈앞의 밤하늘이 훨씬 더 신비롭게 느껴질 거예요!
개기월식이란? · 왜 빨갛게 보일까? · 자주 볼 수 있나? · 관측 팁 · 2025 관측 시간표 · 정리
참고한 자료
- 한국천문연구원(KASI) 보도자료: 2025년 9월 8일 개기월식 주요 시각
- timeanddate.com: 서울 지역 2025-09-07/08 월식 상세 시각
- 한겨레 과학면: 2025년 9월 8일 개기월식 관련 기사
'초코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추석·설 명절 선물 베스트 5 총정리(조부모·부모님·연인 부모·직장상사·친구·거래처) (0) | 2025.09.12 |
---|---|
한글날 특집: 훈민정음의 모든 것—창제 배경, 원리, 해례본, 옛글자, 맞춤법 변천, 문화유산까지 한 번에 (1) | 2025.09.10 |
2026년 말띠 아기 성격과 특징, 출생 월별 사주 풀이 (1) | 2025.08.28 |
사주 오행 완벽 가이드|목·화·토·금·수 의미와 균형 맞추는 법 (6) | 2025.08.26 |
민생회복지원금 미성년자 아기 신청방법 신청하는날 총정리 (1) | 2025.07.21 |